취업/경제 뉴스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14세기 유럽 떨게한 '죽음의 공포' 페스트…전대미문 전염병은 하층민 황금시대 열었다
2021/11/22
경제사 이야기

(22) 페스트와 사회변화



[ 김동욱 기자 ]
14세기 유럽을 강타한 페스트(흑사병)는 그야말로 당대인들에게 충격과 공포였다. 유럽 거의 전역이 추풍낙엽처럼, 유럽 민화에 나오는 죽음의 신이 휘두르는 낫에 쓸리듯 전염병의 희생양이 됐다. 네덜란드 일부와 벨기에, 피레네산맥 인근 프랑스 일부, 폴란드 등만이 간신히 페스트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지역에 따라선 흑사병 탓에 인구의 3분의 1에서 절반 가까이가 사망한 곳도 있었다. 영국에선 1340년대 페스트가 처음 닥쳤을 때 인구의 20%가, 1360~1375년 창궐기엔 인구의 40%가 줄었다. 프랑스는 흑사병 이전의 인구수를 18세기 초에야 간신히 회복했다. 스웨덴, 덴마크는 인구의 최대 절반이 감소했다. 독일의 한자동맹 도시들도 인구의 절반 정도가 사라진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이 전대미문의 대공포가 지나간 뒤 살아남은 사람에겐 흑사병이 일종의 축복이었다. 사람이 귀해지면서 몸값이 높아졌고, 일자리와 재산이 이전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풍족해졌기 때문이다.
흑사병으로 인구의 3분의 1 줄어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도 활발해졌다. 폴란드에서 잉글랜드까지, 노르웨이에서 시칠리아까지 전 유럽에서 대규모로 부동산 주인이 바뀌었다. 19세기 영국의 중세학자 서롤드 로저스가 “페스트의 의미는 토지에 완전한 혁명을 도입한 데 있다”고 평가했을 정도다.

11세기 이후 임금 지급이 없던 과거의 농노제는 효율성을 급격히 상실해갔다. 지주에 대한 농민의 반감은 오늘날 거대 기업 노동자들이 파업을 벌이는 것처럼 흔한 일이기도 했다. 지주들은 토지를 소작 주고자 했으며 과거 현물로 지급되던 지대는 점차 금납으로 대체됐다. 농노보다 신분적 예속이 적은 노동자가 일을 더 잘한다는 사실을 지주도 잘 알고 있었다. 또한 지주들은 상대적으로 중노동이라도 미리 분량이 정해져 있는 일을 하는 게 덜 힘들고 분량이 정해져 있지 않은 노동을 하는 것보다 환영받는 점을 터득하고 있었다.

이런 배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흑사병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높은 임금을 요구했다. 예전에는 찍소리 못했을 사회 하층 계급과 농민들은 어느덧 영주와 지주, 귀족들에게 큰소리를 낼 수 있게 됐다. 전반적으로 귀족층은 상대적으로 힘이 약해진 반면 중산층의 영향은 커졌고, 사회 하층도 여유가 생기게 됐다.

14세기 말부터 15세기까지를 후대 역사가들은 ‘잉글랜드 농민들의 황금시대’로 부르게 된다. 실제 당시 농민들의 실질소득은 19세기가 될 때까지 가장 높은 수준이었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컥스함에서 쟁기질하는 사람은 페스트 이전에는 1년에 2실링을 받다가, 1349년에서 1350년까지는 7실링을 받았고, 1350~1351년에는 10실링 6펜스를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윈체스터 장원에선 임금이 22~33% 올랐고, 웨스트민스터 수도원 영지에선 75%나 뛴 것으로 분석된다.

당연히 옛 지배층은 이런 사회상의 변화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프랑스에선 리 뮈지 수도원장이 “살아남은 사람 대부분은 버릇이 없어졌고, 그들의 노동에 대해 비싼 임금을 받으려고 했다”며 “일할 사람이 부족해 포도밭 등이 경작되지 않은 채로 버려졌고, 모든 수공업 장인과 집안의 하인들마저 뻔뻔스러워져 통상적인 정도를 넘어서는 임금을 원했다”고 불만스러운 마음을 기록했다. 빈의 한 연대기 작가도 “요즘엔 머슴과 하녀가 너무나 비싸져서 구하기 어렵다”고 한탄했다. 이탈리아에서도 사정은 비슷했다.

반대로 이 같은 경제적 축복을 찬양하는 목소리도 등장했다. 로마 시인 프란체스코 베르니(1469~1536)는 ‘페스트 찬가’를 짓기도 했다. 당대의 수많은 연대기 작가는 엄청난 수의 신흥부자들이 재산을 물 쓰듯 하는 모습을 묘사하기 바빴다.
사회구조 불안정해지면서 반란과 혁명 빈발
한번 흔들린 사회 구조는 이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사회지배층은 흑사병 발병 이전 상태로 임금 수준을 돌리려고 인위적으로 개입했고, 농민과 임금노동자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했기 때문이다. 결국 위아래가 뒤집히고 균열이 생긴 사회에서 계속 등장한 것은 각종 반란과 혁명, 내전이었다.

예를 들어 1358년 프랑스 전역에서 농민반란이 일어났다. 잉글랜드에선 1381년 농민대란이 발생하기 전까지 수십 건의 크고 작은 농민의 집단 움직임이 있었다. 1738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선 방직업 종사 노동자들이 일시적으로 도시 권력을 장악한 뒤 ‘뚱뚱한 인간들(지배층)’을 내쫓기도 했다. 이 시기 독일과 스페인, 포르투갈, 폴란드, 러시아까지 유럽 전역에서 지배계층은 전반적으로 불안한 나날을 보내야만 했다.

하지만 당시 지배층이 이 같은 경제 변화에서 꼭 손해만 본 것은 아니었다. 유럽의 흑사병 문제를 오래 연구했던 클라우스 베르크돌트에 따르면 중세 후기 대형 성당과 각종 교회 건물이 들어서게 된 것은 대참사를 겪은 뒤 유럽인들이 성서 속 심판론에 익숙해진 데다 대형 건물을 축조할 수 있을 만큼 사회의 경제적 사정이 여유로워졌기 때문으로 분석되기도 했다.

예나 지금이나 사장님으로 분류되는 사회 지도층은 싼값에 사람 부리길 바라고, 사람들은 제값을 받고 일하길 원한다. 그런 경제적 관계는 시간과 공간의 차이를 넘어 절대적으로 관찰되는 법칙인 셈이다.
NIE 포인트
① 페스트가 유발한 사회변화들을 알아보자.

② 흑사병이 살아남은 자들의 삶에는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③ 농노보다 소작농의 생산성이 더 높은 이유를 생각해보자.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상담자 정보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상담자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문의내용 상품에대한 궁금하신 내용을 적어주세요.
개인정보 수집동의 안내
※ 본 서비스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아래와 같이 고객님의 개인정보가 수집됩니다.
- 수집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문의내용
- 수집목적 : 문의내용에 대한 회신 목적
- 보관기간 : 문의처리 후 7일간 보관 (추가 문의 회신 목적)